한국 리얼리즘 미술 주요 작가 임옥상, 초대형 전시회 [여기 일어서는 땅] > Media & Platform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STUDIO WWOC
STUDIO WWOC
사이트 내 전체검색

Media & Platform

Media & Platform

한국 리얼리즘 미술 주요 작가 임옥상, 초대형 전시회 [여기 일어서는 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12-05 16:57 조회198회 댓글0건

본문


c7f983de1c613a2d94c8b50463d080ef_1670226716_3.jpg
 


«임옥상: 여기, 일어서는 »


2022-10-21 ~ 2023-03-12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지하1, 6, 7전시실 전시마당





이번 전시에서는 서울관 6, 7전시실과 야외 전시마당에 대규모 설치작 6점을 포함하여 40 점의 작품과 130 점의 아카이브가 소개된다. 작가의 신작 하나인 12m 높이의 대규모 설치 작업 ‹여기, 일어서는 ›(2022) 전시의 축으로 놓고 6전시실과 전시마당에 설치작을, 7전시실에 회화 작품을 위치시키며 작가 초기 회화와 최근작을깍지 끼듯마주 이어 구성했다. 6전시실에서는 임옥상 작가의 대형 설치작들을 마주하게 된다. 전시실에 들어서면 표면이 흙으로 빚어진 설치 작품 ‹흙의 소리›(2022) 마치 대지의 여신 가이아(Gaia) 머리가 옆으로 누워있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작품의 한쪽에는 입구가 마련되어 거대한 인간의 머릿속으로 관객을 걸어 들어가게 한다. 동굴과도 같이 다소 어두운 공간에서 가이아, 대지의 어머니가 내는 숨소리를 감각할 있다. 계단과 복도를 지나가면 다소 어두운 공간 안에 거대한 흙벽이 바로 펼쳐진다. ‹여기, 일어서는 ›(2022) 패널 36개를 맞춘 세로 12m, 가로 12m 대규모 설치 작업이다. 작가는 작품을 위해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파주 장단평야 논에서 작업했다. 미술재료용으로 가공되어 정제된 흙이 아닌진짜, 생존을 위한 삶의 공간으로서의 흙을 마주하게 한다. 작품 표면 위에 인식가능한 형상들 외에 즉자적으로 다가오는 요소는 흙의 질감과 색이다. ‹여기, 일어서는 ›(2022) 재료나 의미에 있어 매우 근원적인 지점에 닿아 있다. 장단평야 논에서 떠온 흙은 추수 땅의 상황을 그대로 담고 있다. 베고 남은 볏단의 아래 둥치, 농부와 농기계가 밟고 지나간 자국, 논에 내려앉은 이름 모를 생물들의 흔적, 그리고 여전히 배어있는 냄새, 냄새 등이 원초적인 무의식을 건드리는 듯하다.


임옥상이 처음 작가 활동을 시작할 즈음 , , , , 대기 등의 물질적 요소들은 작품의 소재로 자주 등장했다작가는 어린 시절 들판 멀리 보였던 불의 형상을 잊을 없었고 청년 시절에는 들과 산으로 들어가 직접 자신의 신체로 자연과 접촉하고 호흡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고 했다. 7전시실은 재구성된 작가의 1 개인전(1981) 시기 회화 작품들의 물리적 거리사이 움직여 걸어 다니는 관객의 신체적 행위를 통해 비로소 의미가 채워지며, 이어 작가의 최근 회화 작품들을 마주하게 한다. 2010년대 작가는 캔버스 위에 흙을 덧발라 채우고 위에 유화물감, 먹물 등을 혼합하여 흙산수를 그려냈다. 형상들은 작가의 신체적 행위 자체를 반영하기도 하고, 상당히 구상적인 전통 산수(山水)풍경을 드러내기도 하는데 이번 전시에서 회화 신작이 포함되었다.


미술관 중정(中庭) 전시마당은 사방이 유리벽으로 둘러싸인 장소로, 작가는 이곳에 지름 4m 넘는 웅덩이인 ‹검은 웅덩이›(2022) 한가운데 만들었다.

속에는 검은 물이 가득 있는데, 바람과 풀의 흐름에 미세하게 영향을 받으며 흔들린다. 웅덩이를숨구멍이라 칭하는 작가의 시선을 고려할 생태, 문명, 혹은 문화, 사회 어떤 관점이든 눈앞의 웅덩이는지금현재를 돌아보게 한다. ‹검은 웅덩이 바라보고 있는 대형 구상 조각 ‹대지-어머니›(1993) 철로 제작된 작품으로 마치 흙이 들려 일어나 있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들이 구상되고 계획된 맥락을 전시공간에 아카이빙된 작가노트들 드로잉과 스케치들과 영상물을 통해 확인할 있다.


주식회사 STUDIO WWOC | 대표이사 : 신종규   |   사업자등록번호 : 199-86-02205
주소 : 서울 강남대로 154길 24 | 대표번호 : 02-3448-2228   |   팩스번호 : 02-3448-2229
Copyright © STUDIO WWOC. All rights reserved.